본문 바로가기

개발 공부14

DDD, Domain Driven Development란? Domain Driven Development란?"도메인 정보가 잘 표현된 프로그램"을 지향하는 것왜?프로그램이 커지고 복잡해질수록 코드에서 도메인 정보를 알기 어려워진다.오롯이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기술적 장치들과 지식들이 도메인에 대한 정보와 함께 난잡하게 섞여프로그램의 본질이 되는 도메인이 정의한 기능을 잘못 구현하게 될 확률이 높아지며 수정하기도 어려워진다.(몇만개의 파일, 수백만줄의 코드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상상해보자)어떻게?도메인 정보가 잘 드러날 수 있는 코딩 (디자인 패턴) 가이드가 필요하며 이를 습득함- 사내에 통용되는 용어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개발- 각 용어가 정의하는 비즈니스 로직을 코드에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디자인 패턴- (cqrs 패턴은 DDD하며 생긴 기술적 어려움을.. 2024. 11. 9.
쉽고 간단한 리팩토링! 회사에 입사해 한 달 동안 테스트코드 작성, 그리고 리팩토링을 하며 주요 로직들을 검증하는 기간을 가졌었다. 한달동안 리팩토링하며 이것 하나만 알고 있어도 도움이 많이 되겠구나 싶은 것이 있었다. P.S. 금방 쓰고싶었는데.. 또 오래걸렸다 ㅜ.ㅜ 한달에 글 하나씩! 리팩토링! 이거 하나만 알고있어도 꽤 괜찮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지갑이라는 클래스가 있다. 현금 지갑이거나, 주식 지갑일수도 있다. 앞으로 나올 코드들은 이해 할 필요 없다. 그냥 보기 편해졌네? 라는 것만 느끼면 된다. class Wallet { constructor(owner) { this.owner = owner; this.stagingMoney = 0; this.availableMoney = 0; } } 우리가 돈을 쓰면, 지갑.. 2022. 3. 1.
Nginx가 커스텀 헤더를 제거했던 건에 관하여 나는 테스트코드를 작성하며 개인 프로젝트를 리팩토링 하고있었다. 오랜만에 사이트에 접속해보니 https 적용이 되지 않았다. https 설정을 보는 김에 csrf토큰 관련 버그도 함께 해결해보기로 했다. https 왜 안되는 것이냐! 프로젝트 업데이트도 할 겸 다시 빌드해보자.. 일단 git 한글 깨짐을 고쳐보자 export LESSCHARSET=UTF-8 프로젝트를 다시 클론 받아보자 명령어 한번에 지우기 ctrl + r + u 이제 깃허브에 포함되지 않은 파일들을 복붙해보자 // -p: 파일의 소유자와 권한 옵션을 유지한채로 복사한다. cp -rf -p deployItems/* baeum-api 결론은 인증서 발급에는 문제가 없었다. 한 블로그를 보며 웰노운, 챌린지 폴더를 생성해보니.. https가.. 2022. 1. 11.
1일 1커밋 6개월 + 코로나 완치! + 면접..등 (TMI 주의...) 필자는 어제(21일) 부터 텐션이 높아져 있다. (격양되어있다는 뜻) 왜냐하면 어제 코로나 완치판정을 받고 병원에서 퇴원을 했고 2주만에 바깥 세상에 나와서 당근마켓 면접도 봤고, 보고싶은 사람도 봐서 그런 것 같다. 😇 다시 취업 준비와 공부를 위해서 재정비를 해야하는데 시작하기 전에 살짝 정리하고 싶은? 글들을 쓴다. 내가 블로그를 하는 이유는 1. 나를 어필하기 위해서 (내 성향과, 나 이렇게 열심히 하고 있다! 이런거) 자주 쓸 자신은 없지만.. 한달에 하나라도 올리자라는 생각 그리고 이건 블로그를 하며 느낀 것 2. 기술 관련 글을 올릴때 발표하는 형식으로 쓰면 좀더 제대로 공부하게 된다. 근데 사실 기술관련 글을 아직 쓸 단계가 아닌 것 같다. 내 레벨에서 나올수 있는 주.. 2021. 12. 23.